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픈소스깃허브사용
- 취업연계
- 비스포크시네마
- randomForest
- 1차프로젝트
- springSTS
- KNN모델
- 2차 실전프로젝트
- 2차프로젝트
- 크롤링
- ERD
- MVCmodel
- 취업성공패키지
- MSE
- 프로젝트
- 내일배움카드
- 선형모델 분류
- 안드로이드
- semantic_segmentation
- 머신러닝
- JSP/Servlet
- intent
- 활성화함수
- 국비지원
- 하이퍼파라미터튜닝
- 교차검증
- gitclone
- 손실함수
- 백엔드
- 스마트인재개발원
- Today
- Total
목록크롤링 (2)
또자의 코딩교실

기획 발표 이후, 1차 프로젝트는 DB요구사항 정의서와 역할 최종분 배 사항을 정해 DB멘토링을 받는다. 그다음부터의 프로젝트 진행사항은 테이블 명세서와 요구사항 정의서와 함께 진행된다. 우리 조는 전문가 선생님께서 봐주셨는데, IT업계에는 DB설계를 맡는 사람은 그 분야에서의 최고 숙련자가 보통 맡는 직무라고 한다. 왜냐하면 모든 프로그래밍 지식이 기반이 되어있어야 DB에서 데이터가 쓰이는 부분과 보다 효율적인 배치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 또한 그 말을 절절히 느낄 수 있었다. 우리 조가 2주간 열심히 머리를 싸매고 생각한 기능을 테이블 명세서에 적어갔었을 때, 우리조의 테이블 명세서를 읽어보시고는, 필요한 기능에 맞춰 테이블들의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요약하시는 것을 보며 신기하고 놀라운 ..

오늘 부로 2021/11/16일 자로 1차 프로젝트, Bespoke Cinema 개발이 끝났다. 나는 1차 프로젝트의 조장을 맡아서 진행하게 되었고 내일의 최종발표만 앞둔 상태이다. 처음 만난 팀원들은 조금은 어색했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한달동안 많이 친해졌다. 프로젝트의 진행사항은 몇가지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실질적으로 체감되는 시간은 매우 짧았지만 막상 일정은 꽤 길었다. 개발을 하는 기간동안은 늘 시간이 부족했는데 지금 프로젝트가 끝난 시점에서 매우 뿌듯하다. 시간을 알차게 잘 사용한 느낌이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하면서 많이 도움을 주신 선생님들과 같은 과정의 분들께 감사하다. 1차 프로젝트는 8/23일자부터 배웠던 것들을 기반으로 배웠던 기능과 기술들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2차 프로..